about. Book

한 권으로 읽는 컴퓨터 구조와 프로그래밍

비트 : 2진법을 사용한다는 뜻. binary(두가지 부분으로 이루어진 어떤 대상) + digit(10진수를 나타내는 기호) 

 

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도 언어이므로 일반 적인 언어와 마찬가지로 문맥없이는 제대로 알아 들을 수 없다.

비트를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는 논리연산으로 대화를 진행하는 것이다. 예/아니오로 대답 할 수 있는 것들을 이어 논리를 만드는 것이다. 예를 들어 '밖에 비가 내리고 있거나 춥다면 코트를 입어라'의 한 문장을 '추운가?'가 참이거나 '비가 오고 있는가?'가 참이라면 '코트를 입는다'가 참이다.  이처럼 다른 비트들이 표현하는 내용으로부터 새로운 비트를 만들어 내는 이런 동작을 논리연산(logic operation)이라고 한다. 

 

이런 논리 연산의 대표적인 예 두가지가 있다.

불리언 대수(boolean algebra)와 드모르간 법칙이 있다.

 

불리언 대수(boolean algebra)

크게 네가지가 있다.

  • NOT : 논리적 반대를 의미한다. 참인 것이 NOT을 만나면 거짓이된다.
  • AND : 2비트 연산의 경우 첫 번째 비트가 참이고 두번째 비트가 참이어야 결과가 참이 된다.
  • OR : 둘 중 하나가 참이어도 참이 된다.
  • XOR : 배타적(EXCLUSIVE) OR라고한다. 두 값 중 어느 하나가 참이면 XOR도 참이지만 두 값 모두가 참이면 XOR는 거짓이다.

또한 다른 연산들을 조합해 XOR연산자를 만들 수 있다.  a XOR b 는 (aORb)AND(NOT(a AND b))와 같다.

 

드모르간의 법칙

 

aANDb 와 NOT(NOT a or NOT b)가 같다는 정의이다.

위의 긍정적인 논리에 더해 부정적인 논리를 기술하는 명제를 사용할 때 이 법칙을 활용할 수 있다.

 

#양의 정수 표현

우리는 보통 10진수 체계를 사용한다. 이는 우리의 손가락 발가락의 개수가 각각 10개씩이기 때문이다.

'about. Boo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하버드 스탠퍼드 생각수업 by 가노 미키  (0) 2021.05.19